컨텐츠상세보기

머릿속에 쏙쏙! 세포.유전자 노트
머릿속에 쏙쏙! 세포.유전자 노트
  • 저자다케무라 마사하루
  • 출판사시그마북스
  • 출판일2024-07-22
  • 등록일2024-11-25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클론? 생명공학?? 모두 인간의 이야기!

한 권으로 끝내는 세포ㆍ유전자

세포 혹은 유전자, 클론, 게놈… 뭔가 먼나라 이야기 같고, 나와는 상관없는 이야기 같습니다. 게다가 대부분은 과학과는 상관없는 삶을 살기 때문에 그렇게 느껴집니다. 중고등학교 기초 교과목인 생물을 싫어했다면 더 그러할 겁니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실험실에서 먹을 수 있는 고기를 배양해내는 시대인 지금, 지금이야말로 세포나 유전자에 관한 지식과 기술이 가장 필요하지 않을까요?

거기다 지구 환경이 급격하게 바뀌고 인간의 기술이 발전할수록 독감 바이러스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감염병이 세계 곳곳에서 발생하고 있습니다. 언제 무슨 일이 생길지 모르는 거죠. 이럴수록 바이러스가 감염하는 상대인 세포를 잘 알아야 하고, 세포를 구성하는 유전자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이 책은 세포, 유전자, 생명공학, 바이러스, 미래 생명공학에 대한 모든 것을 정리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저자소개

저자 : 다케무라 마사하루

도쿄 이과대학 교양교육연구원 교수이다. 전문 분야는 거대바이러스학, 분자생물학, 생물교육학이다. 저서로는 『생물은 바이러스가 진화시켰다』 『세포란 무엇일까?』 『바이러스는 속삭인다』 『바이러스의 진화사를 생각하다』 『바이러스의 비밀』 등 바이러스에 관한 책, 『기초생물학』 『인간을 위한 일반생물학』 『분자생물학 집중 강의』 등 생물학 일반, 분자 생물학 관련 교과서, 『레플리카』 『세상은 복제로 이루어져 있다』 등 복제 현상을 폭넓게 파악한 사회.문화론적 저작이 있다. 더불어 자연과학자임에도 요괴에 대한 지식도 풍부해 『로쿠로쿠비의 목은 왜 늘어날까?』 『공상 요괴 독본』 등의 저서도 있다.



번역 : 정미애

한양대학교 문화인류학과를 졸업했다. 우연히 번역의 매력에 푹 빠진 뒤 현재 바른번역에서 일본어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지구의 내일을 부탁해!』 『물리지 않는 물리학』 『수상한 이발소』 『80에도 뇌가 늙지 않는 사람은 이렇게 합니다』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세포란 무엇일까?

01 인간은 수많은 세포로 이루어져 있다?

02 코르크를 관찰하다가 세포를 발견했다?

03 인간과 세포=국가와 시민의 관계!?

04 아메바와 짚신벌레는 어떻게 살아갈까?

05 세균은 무엇으로 만들어졌을까?

06 인간과 아메바는 모두 진핵생물!?

07 핵의 소중함은 적혈구가 알려준다?

08 아키아는 어떤 생물일까?

09 바이러스도 세포로 이루어졌을까?

10 세포를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칼럼 01】 일본 식물학의 아버지는 우다가와 요안?



제2장 유전자란 무엇일까?

01 유전자는 단백질을 만드는 설계도?

02 DNA가 하는 일은 순서 정하기?

03 DNA에 어떻게 정보를 기록할까?

04 DNA를 발견한 사람은 누구일까?

05 근력 운동, 미용, 건강, 전부 단백질!!

06 영어=염기서열, 한국어=아미노산 서열로 기억하자!

07 RNA는 어떤 물질일까?

08 유전체와 유전자의 차이는 무엇일까?

09 센트럴 도그마란?

10 mRNA 백신은 설계도 복사본?

【칼럼02 】 DNA 감식 결과가 다른 사람과 일치하는 경우도 있을까?



제3장 생명공학이란?

01 생명을 조작할 수 있을까?

02 생명공학은 어떤 기술일까?

03 DNA를 대량으로 증폭시키는 방법은?

04 PCR로 무엇을 할 수 있을까?

05 유전자는 자르거나 붙이면 재조합할 수 있다!?

06 유전자를 세포 안에 집어넣을 수 있을까?

07 장기를 잃어도 되찾을 수 있을까?

08 유전체 편집은 유전자 재조합보다 효율적?

09 항체도 생명공학으로 만들 수 있을까?

10 동물실험도 생명공학일까?

【칼럼 03】 콩고기와 소고기의 차이는 줄어들까?



제4장 바이러스는 무엇일까?

01 길거리를 다니면 천만 개가 넘는 바이러스와 부딪힌다?

02 유전자만으로 이루어진 바이러스가 있다?

03 바이러스는 왜 질병을 일으킬까?

04 바이러스와 세포 중 누가 먼저 태어났을까?

05 생명공학에 바이러스가 쓰인다?

06 바이러스는 원래 질병을 일으키지 않는다는 게 사실일까?

07 거대 바이러스는 맥시멀리스트?

08 세포와 바이러스는 공생관계일까?

09 미지의 바이러스는 어떻게 생겨날까?

10 바이러스와 인간은 공생할 수 있을까?

【칼럼 04】 바이러스와 요괴는 닮았다?



제5장 생명공학은 앞으로 어떻게 될까?

01 인간이 생명을 조작하면 어떤 세상이 될까?

02 자연계에서는 생명 조작이 당연한 일?

03 iPS 세포는 재생의료에 어떤 도움이 될까?

04 iPS 세포 외에 다른 만능 세포도 있을까?

05 맞춤 아기는 실현될까?

06 암 치료법은 찾을 수 있을까?

07 감염병과의 싸움은 영원히 끝나지 않을까?

08 스타워즈에 나오는 클론 전쟁은 현실이 될 수 있을까?

09 공룡을 현대에 되살릴 수 있을까?

10 생명공학이 발전하면 미래는 무엇이 달라질까?



맺음말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