컨텐츠상세보기

한국사 연표 정리 (분류사 포함) (2018 최신판)
한국사 연표 정리 (분류사 포함) (2018 최신판)
  • 저자김기원 저
  • 출판사아티즘
  • 출판일2017-09-25
  • 등록일2019-08-29
보유 10,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39, 누적예약 0

책소개

다른 과목에 비해 한국사가 어려운 이유는 하나의 단편적인 내용만을 알아서는 문제를 풀 수 없기 때문입니다. 고득점을 위해서는 반드시 사건의 흐름과 국가별 차이점 및 시대별 변천과정을 알아야 함은 물론이고, 사건의 배경ㆍ원인ㆍ내용ㆍ전개ㆍ결과ㆍ비교 등 모든 관련항목을 함께 공부하여야 합니다.

이런 까닭으로 저는 7급 세무직 공무원시험을 준비하면서 [한국사 연표정리]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한국사 연표정리]는 왕, 연도, 개요, 내용이란 네 가지 항목에 관련된 모든 내용을 일목요연하게 정리하여 저의 수험생활에 많은 도움을 주었습니다.

이에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시는 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드리고자 분류사도 정리하여 완벽한 [한국사 연표정리]를 발간하게 되었습니다.

저는 수험생 입장에서 [한국사 연표정리]가 수험생이 원하는 책이 되게끔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비교표를 최대한 활용하여 서술식 방식에서 탈피하였습니다. 단순한 사료의 첨가가 아닌 사료를 철저히 분석하였습니다. 중요 부분에 색상을 넣어 눈에 잘 띄게 하였습니다. 명쾌한 용어 설명으로 이해가 쉽도록 하였습니다. 참신한 암기요령과 설명으로 쉽게 암기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또한 기출문제를 분석하여 풀이를 해당 단원에 수록하였습니다.

이제 새롭게 탄생한 [한국사 연표정리]가 가장 효율적인 한국사 공부의 세계로 여러분을 인도할 것입니다.

[책의 특징]
- 기출문제 분석을 통해 공부 방법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분류사를 통해 전체 흐름을 쉽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시대사를 통해 사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습니다.
- 배경ㆍ원인ㆍ내용ㆍ전개ㆍ결과ㆍ비교 등 관련된 항목을 함께 공부할 수 있습니다.
- 헷갈리기 쉬운 부분을 체계적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활용 방법]
- 관련된 모든 사항을 한 번에 공부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 문제를 풀면서 애매한 부분을 정리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 필요한 부분을 빨리 찾아보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 한국사의 흐름을 단기간에 정리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목차

[분류사] 

○ 중앙 통치체제
○ 지방 행정조직
○ 군사제도
○ 교육기관
○ 관리 등용제도
○ 대외 관계
○ 수취 체제
○ 토지제도
○ 농업
○ 상업
○ 수공업
○ 광업
○ 대외 무역
○ 신분제도
○ 생활 모습
○ 사회 모습
○ 화폐
○ 불교
○ 도교?노장사상
○ 풍수지리사상
○ 유학
○ 고분
○ 건축
○ 탑
○ 불상
○ 자기
○ 공예
○ 글씨
○ 그림
○ 음악
○ 문학
○ 천문학?역법
○ 인쇄술
○ 기타 과학 기술
○ 국제 교류
○ 역사서
○ 지리서
○ 지도
○ 의학서
○ 서적
○ 사림
○ 붕당정치
○ 성리학
○ 양명학
○ 실학
○ 천주교 박해
○ 위정척사 운동
○ 한말 의병 운동
○ 국권 피탈
○ 일제의 식민지 통치
○ 조선교육령
○ 항일 독립운동
○ 근대 이후 종교계 활동
○ 근대 이후 한국사 연구
○ 광복 이후 주요 단체
○ 근대 이후 주요 인물
○ 현대 사회의 경제 상황
○ 북한 정권
○ 남북한의 통일 정책
○ 대한민국 임시정부 개헌
○ 우리나라 헌법
○ 간도와 독도
○ 유네스코 지정 문화 유산 

[연표 정리] 

<선사시대> 

○ 구석기시대 
○ 중석기시대 
○ 신석기시대 
○ 청동기시대 
○ 철기시대 
○ 고조선 
○ 위만 조선 
○ 부여 
○ 초기 고구려 
○ 옥저 
○ 동예 
○ 삼한 

〈삼국시대〉 

○ 박혁거세[신] (기원전 57) 
○ 동명성왕[고] (기원전 37) 
○ 온조[백] (기원전 18) 
○ 김수로[가] (42) 
○ 태조왕[고] (53~146) 
○ 고국천왕[고] (179~197) 
○ 동천왕[고] (227~248) 
○ 고이왕[백] (234~286) 
○ 미천왕[고] (300~331) 
○ 고국원왕[고] (331~371) 
○ 소수림왕[고] (371~384) 
○ 근초고왕[백] (346~375) 
○ 침류왕[백] (384~385) 
○ 내물왕[신] (356~402) 
○ 광개토대왕[고] (391~413) 
○ 장수왕[고] (413~491) 
○ 눌지왕[신] (417~458) 
○ 비유왕[백] (427~455) 
○ 개로왕[백] (455~475) 
○ 문주왕[백] (475~477) 
○ 동성왕[백] (479~501) 
○ 소지왕[신] (479~500) 
○ 문자왕[고] (491~519) 
○ 지증왕[신] (500~514) 
○ 무령왕[백] (501~523) 
○ 법흥왕[신] (514~540) 
○ 성왕[백] (523~554) 
○ 진흥왕[신] (540~576) 
○ 진평왕[신] (579~632) 
○ 영양왕[고] (590~618) 
○ 영류왕[고] (618~642) 
○ 선덕여왕[신] (632~647) 
○ 진덕여왕[신] (647~654) 
○ 무열왕[신] (654~661) 
○ 의자왕[백] (641~660) 
○ 보장왕[고] (642~668) 
○ 문무왕[신] (661~681) 
○ 신문왕[통] (681~692) 
○ 효소왕[통] (692~702) 
○ 성덕왕[통] (702~737) 
○ 고왕[발] (698~719) 
○ 무왕[발] (719~737) 
○ 문왕[발] (737~793) 
○ 경덕왕[통] (742~765) 
○ 혜공왕[통] (765~780) 
○ 원성왕[통] (785~798) 
○ 헌덕왕[통] (809~826) 
○ 선왕[발] (818~830) 
○ 흥덕왕[통] (826~836) 
○ 진성여왕[통] (887~897) 
○ 효공왕[통] (897~912) 
○ 경명왕[통] (917~924) 
○ 애왕[발] (906~926) 
○ 경순왕[통] (927~935) 

〈고려시대〉 

○ 태조 (918~943) 
○ 혜종 (943~945) 
○ 정종 (945~949) 
○ 광종 (949~975) 
○ 경종 (975~981) 
○ 성종 (981~997) 
○ 목종 (997~1009) 
○ 현종 (1009~1031) 
○ 덕종 (1031~1034) 
○ 정종 (1034~1046) 
○ 문종 (1046~1083) 
○ 선종 (1083~1094) 
○ 숙종 (1095~1105) 
○ 예종 (1105~1122) 
○ 인종 (1122~1146) 
○ 의종 (1146~1170) 
○ 명종 (1170~1197) 
○ 신종 (1197~1204) 
○ 희종 (1204~1211) 
○ 고종 (1213~1259) 
○ 원종 (1259~1274) 
○ 충렬왕 (1274~1308) 
○ 충선왕 (1298, 1308~1313) 
○ 공민왕 (1351~1374) 
○ 우왕 (1374~1388) 
○ 창왕 (1388~1389) 
○ 공양왕 (1389~1392) 

〈조선시대〉 

○ 태조 (1392~1398) 
○ 정종 (1398~1400) 
○ 태종 (1400~1418) 
○ 세종 (1418~1450) 
○ 문종 (1450~1452) 
○ 단종 (1452~1455) 
○ 세조 (1455~1468) 
○ 예종 (1468~1469) 
○ 성종 (1469~1494) 
○ 연산군 (1494~1506) 
○ 중종 (1506~1544) 
○ 인종 (1544~1545) 
○ 명종 (1545~1567) 
○ 선조 (1567~1608) 
○ 광해군 (1608~1623) 
○ 인조 (1623~1649) 
○ 효종 (1649~1659) 
○ 현종 (1659~1674) 
○ 숙종 (1674~1720) 
○ 경종 (1720~1724) 
○ 영조 (1724~1776) 
○ 정조 (1776~1800) 
○ 순조 (1800~1834) 
○ 헌종 (1834~1849) 
○ 철종 (1849~1863) 

〈근대시대〉 

〈일제 강점기〉 

〈현대시대〉

한줄 서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