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을복지계획 수립 매뉴얼
- 저자박태영,채현탁,배은희,정연모,임우현,허숙민 공저
- 출판사도서출판 공동체
- 출판일2024-03-25
- 등록일2024-07-15
- SNS공유
- 파일포맷PDF
- 파일크기22MB
- 공급사YES24
-
지원기기
PC
PHONE
TABLET
프로그램 수동설치
전자책 프로그램 수동설치 안내
아이폰, 아이패드, 안드로이드폰, 태블릿,
보유 1, 대출 0,
예약 0, 누적대출 0, 누적예약 0
책소개
마을복지계획은 주민이 주도성을 갖고 마을의 복지문제를 예방하거나 해결함으로써 마을공동체 강화를 도모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주민을 대상으로 한 복지교육 및 복지학습을 통하여 주민의 주체성을 키우고, 주체의식을 가진 주민들이 마을복지계획을 수립ㆍ실천하므로 마을공동체를 완성해 나가자는 것이다.이제까지의 복지는 주민을 수단화해 왔다. 주민을 단순한 자원봉사자나 기부자로 여겨 온 것이 사실이다. 마을복지계획에서도 주민이 자원봉사활동이나 기부활동을 할 수 있지만, 이런 활동을 언제, 누구에게, 어떤 방식으로, 왜 하는지 스스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하는 주체성을 가진다는 것이 다른 점이다. 주민이 주도권을 갖게 되면, 계획 수립과 실천에서 보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바뀌게 될 것이다. 이는 주민자치로 나아가는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제까지 수동적인 활동을 해 온 주민이 한 번의 마을복지계획 수립과 실천으로 갑자기 주도적인 활동가로 바뀌기는 쉽지 않다. 주변 환경이 이를 쉽게 용납하지도 않을 것이다. 따라서 마을복지계획은 수립된 사업의 적정성 못지않게 수립 과정에서의 충실성, 수립에 관련된 사람들 간의 협력성에 더 큰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런 노력은 주민의 주도성을 키우는 핵심적인 방안이기 때문이다.
이 매뉴얼에서는 그동안 (협)한국지역복지아카데미 조합원들이 여러 읍면동에서 마을복지계획을 수립한 경험을 바탕으로 주민주도성을 키우면서 마을복지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과정을 소개하고 있다. 전국 3,500여 개의 읍면동은 나름의 특색을 가지고 있으므로 융통성을 갖고 활용하기 바란다